품질관리는 단순히 불량품을 걸러내는 것을 넘어서, 공정 자체를 통계적으로 통제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 그 중심에 있는 도구가 바로 **관리도(Control Chart)**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ISO 7870-2:2013에서 다루는 Shewhart 관리도에 대해 깊이 있게 살펴보고, 실제 사례와 함께 현장 적용 방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.
ISO 7870 시리즈란?
ISO 7870 시리즈는 통계적 품질 관리에서 사용하는 **관리도(Control Chart)**에 대한 국제 표준입니다. 그 중 ISO 7870-2:2013은 **Shewhart 관리도(Shewhart control charts)**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, 가장 널리 사용되는 관리도 유형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.
Shewhart 관리도란?
Shewhart 관리도는 공정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시간 순으로 시각화하여, 공정이 안정적인 상태인지, 아니면 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.
주요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CL (Center Line): 중심선, 보통 공정 평균
- UCL (Upper Control Limit): 상한 관리한계
- LCL (Lower Control Limit): 하한 관리한계
- 공정 데이터 점들: 시간 순서대로 표시
UCL과 LCL은 일반적으로 평균 기준 ±3시그마(3σ) 지점에 설정되며, 이는 공정이 통계적으로 안정된 상태일 때 약 99.73%의 데이터가 이 범위에 존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.
ISO 7870-2:2013의 주요 내용 요약
- 변수형 데이터용 관리도
- X̄-R 관리도: 평균과 범위(Range)를 사용
- X̄-s 관리도: 평균과 표준편차(Standard Deviation)를 사용
- 개별값 관리도 (X-MR): 측정값이 적거나 1개일 때 사용
- 속성형 데이터용 관리도
- p-chart: 불량률 (예: 전체 수량 중 불량 비율)
- np-chart: 불량 수 (샘플 수 고정 시)
- c-chart: 결함 수 (단일 샘플당 발생한 결함 개수)
- u-chart: 단위당 결함 수 (샘플 크기 가변 시)
- 해석 가이드라인
- 점이 3σ를 벗어남 → 이상 상태(Special Cause) 의심
- 점이 연속적으로 한 방향으로 흐름 → 드리프트(drift) 발생 가능성
- 점들이 중심선 근처에 몰림 → 측정 시스템 이상 가능성
- 운영 규칙 및 반응지침
- 관리한계 초과 시, 즉시 공정 조사 및 시정조치 필요
- 2시그마 경고한계선을 기준으로 사전 감지 기능 강화 가능
실제 예시: 식품 제조업의 사례
A 식품회사는 소금이 들어간 스낵의 **염도(%)**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. 이 회사는 매 시간마다 5개의 샘플을 측정하고, X̄-R 관리도를 이용해 공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.
- 목표 염도 평균: 1.5%
- 공정 표준편차: 0.05%
- 3σ 기준으로 UCL = 1.65%, LCL = 1.35%
어느 날 관리도에서 염도 측정값이 1.70%로 UCL을 초과하여 표시됩니다. 즉시 해당 배치의 믹싱 공정 조건을 점검해본 결과, 소금 투입량 제어 밸브가 고장 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어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.
이처럼 관리도는 문제가 발생한 후 조치가 아니라, 문제가 발생하기 직전에 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
실무 적용 팁
- 데이터의 정규성 확인
- 관리도는 데이터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합니다. 초기에는 히스토그램이나 정규성 검정을 통해 확인하세요.
- 표본 크기 설정
- 일반적으로 n=4~5 정도의 소집단을 권장합니다. 너무 작으면 통계적 신뢰성이 낮고, 너무 크면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
- 자동화 도구 활용
- Excel, Minitab, JMP 같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관리도 작성과 해석이 훨씬 수월해집니다.
- 작업자 교육
- 관리도 해석과 이상 신호 대응을 위해 현장 작업자도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.
결론
ISO 7870-2:2013은 단순한 통계 이론이 아니라, 실제 생산 현장에서 품질을 예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실용적 지침서입니다. Shewhart 관리도를 통해 불량률을 낮추고, 생산성은 높이며, 고객 만족도는 유지할 수 있습니다.
현장 공정에서 여전히 불량률이나 편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면, 지금 바로 관리도의 도입을 고려해보세요. 통계적 품질관리는 복잡해 보이지만, 한 걸음씩 배우고 적용하면 가장 실용적인 무기가 됩니다.
댓글